[김필수 교수의 으랏車] 민관, 전기차 화재 예방에 지속해 분투하라
경찰청이 인천 청라아파트 단지에서 최근 발생한 전기자동차 화재에 대한 결론을 원인불명으로 규정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조사 결과를 뒷받침하는 셈이다. 앞서 국과수가 이번 화재 원인을 전기차 배터리관리시스템인 BMS의 데이터 확보에 실패했다면서, 이번 화재가 외부 충격으로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했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이는 차주의 관리 책임을 지적한 것이지만, 경찰청이 국과수의 결론과 해당 차종에 대한 정비와 검사, 보험 이력 등 다양한 정보를 활용했으나, 화재 원인을 밝히지 못했다고 했다.
이를 고려할 경우 앞으로가 문제다.
이번 전기차 화재로 해당 아파트 단지의 손실이 1000억원 이상이고, 이 화재로 입주민의 불안이 증폭해서다.
아울러 화재 원인불명으로, 손해배상의 책임자가 없다. 피해자만 있고 가해자는 없는 것이다.
과연 이번 화재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이에 따라 정부와 민간이 여기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있다.
충전제어가 불가능한 모든 완속 충전기를 지하에서 지상으로 옮기고 있다. 전기차 화재 가운데 20%가 충전 중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배터리 인증제, BMS 정보를 활용한 예방 차원의 앱 활용, 스마트제어 완속 충전기 보급 확산 등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전국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있는 25만기의 완속 충전기를 포함해 전국에 34만기의 완속 충전기가 있다. 다만, 정부가 스마트제어 완속 충전기 확대를 위한 예산으로 올해 800억원을 책정했지만, 실행이 0원이다.
이와 함께 낡은 전기차의 조기 폐차도 유도하고 있다. 차령 10년 이상인 전기차의 경우 전체 전기차 화재의 70%를 차지하고 있어서다.
현재 국내 도로를 달리는 70만대 전기차 가운데 10%가 여기에 해당한다. 노후 경유차 폐차시 정부가 보조금 지급하듯, 노후 전기차 폐차시에도 보조금을 지급하면 전기차 화재 빈도를 낮출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제작사가 배터리 점검도 강화하고 있다.
배터리셀 제작단계에서 진행하는 배터리셀 전수 CT 검사가 배터리셀 불량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민관이 상기한 예방책을 꾸준히, 성실하게 수행하면 전기차 화재를 상당히 줄일 수 있고, 화재에 따른 국민 불안도 없앨 수 있다. 이에 따른 전기차 판매 회복이 덤이다.
정부가 내년 전기차 16만대 보급을 천명했다. 국민과 관련 기업, 나라 경제를 위해 정부와 민간의 지속적인 분투를 당부한다.
[김필수 교수의 으랏車] 민관, 전기차 화재 예방에 지속해 분투하라 - 스페셜경제
경찰청이 인천 청라아파트 단지에서 최근 발생한 전기자동차 화재에 대한 결론을 원인불명으로 규정했다.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조사 결과를 뒷받침하는 셈이다. 앞서 국과수가 이번 화재 원인
www.speconom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