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업계 ‘7일 배송’ 전면화 속 갈등 확산…한진 노조 반발 거세
CJ대한통운 이어 업계 전반 확산…한진은 협의 없이 추진, 현장 혼란 가중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택배산업의 ‘주 7일 배송’ 체제가 점차 확산되는 가운데, 한진택배의 주말 배송 확대 방침을 두고 현장과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
CJ대한통운이 선제적으로 도입한 7일 배송을 타 업체들이 뒤따르며 업계 표준으로 자리 잡는 분위기지만, 준비 없는 시행이 노동 현장의 반발을 초래하고 있다.
뉴시스에 따르면 17일 전국택배노동조합(이하 택배노조)은 서울 중구에 위치한 한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진이 노조와 사전 협의 없이 7일 배송 도입을 강행하려 한다”며 공식 반대 입장을 밝혔다.
택배노조가 실시한 자체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한 한진 택배기사 1,093명 중 81%가 7일 배송에 반대했으며, 절차상의 문제까지 포함하면 전체의 98%가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한진은 이에 대해 “현재 7일 배송은 검토 단계”라고 선을 그었지만, 노조 측은 27일부터 실제 시행에 들어간다는 내부 녹취록을 공개하며 반박했다.
이번 갈등의 핵심은 인력 구조와 작업 강도에 있다. CJ대한통운의 택배기사는 2만 명에 달하는 반면, 한진은 8,000명 수준으로 권역당 담당 인력이 적어 상대적으로 더 넓은 지역을 소화해야 한다. 주말 근무 시 인력 공백이 발생할 경우, 업무 부담이 특정 기사에게 집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업계 관계자는 “CJ대한통운은 주 7일 배송과 관련해 최대 40%의 추가 수수료를 지급하고 있다”며 “한진은 아직 보상 체계를 명확히 제시하지 않아 현장 반발이 크다”고 전했다.
CJ대한통운의 사례는 주 7일 배송 체제 전환에 있어 노조와의 협의와 보상 구조 마련이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반면 한진은 충분한 협의 없이 도입을 추진하면서 내부 갈등을 자초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택배업계 ‘7일 배송’ 전면화 속 갈등 확산…한진 노조 반발 거세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택배산업의 ‘주 7일 배송’ 체제가 점차 확산되는 가운데, 한진택배의 주말 배송 확대 방침을 두고 현장과의 충돌이 격화되고 있다.CJ대한통운이 선제적으로 도입한 7
www.speconom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