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멸종 위기 ‘토종 꿀벌’ 살리기 나섰다…생태수목원 인근에 서식지 조성
화담숲 인근 정광산에 100만 마리 방사…2027년까지 400만 마리 증식 목표

LG가 멸종 위기에 처한 토종 꿀벌 보호를 위한 생태계 회복 사업에 본격 나섰다.
LG는 최근 산하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 광주시 곤지암 ‘화담숲’ 인근 정광산에 토종 꿀벌 서식지를 조성하고, ‘한라 토종벌’ 100만 마리를 방사했다고 19일 밝혔다. 회사는 2027년까지 개체 수를 400만 마리까지 증식할 계획이다.
꿀벌은 전 세계 식량 생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주요 수분 매개체로, 100대 농작물 중 70종 이상의 작물 생산에 관여하고 있다. 특히 국내 자연 생태계에서는 토종 꿀벌이 돌배나무 등 자생 식물의 수분에 필수적인 존재로 꼽힌다.
2010년대 이후 낭충봉아부패병으로 토종 꿀벌 개체 수는 98% 이상 급감하며 사실상 멸종 위기에 처한 상태였다. 최근 들어 민관 협력을 통한 개량종 개발 등으로 점진적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2021년 이후 다시 급감세가 이어지고 있다.
LG는 이번 사업을 통해 토종 꿀벌 개체 수 증식뿐 아니라, 꿀벌의 주요 먹이원인 밀원 식물 자원을 화담숲 인근에 집중 조성함으로써 안정적인 생태계 기반도 함께 마련하고 있다. 화담숲은 산림청으로부터 국가 희귀·특산 식물 보전기관으로 지정돼 있으며, 희귀 동식물 서식지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토종 꿀벌 사육 40년 경력의 김대립 명인과 사회적 기업 ‘비컴프렌즈’와의 협업으로 진행된다. 김 명인은 9건의 토종벌 관련 특허를 보유한 토종 꿀벌 명인 1호로, 인공 분봉법과 여왕벌 관리 장치 등을 개발해왔다.
비컴프렌즈는 발달장애인 양봉가를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으로, LG와 함께 증식된 꿀벌을 향후 양봉 피해 농가에 분양하는 등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나설 방침이다.
LG 관계자는 “이번 토종 꿀벌 보전 사업은 단순한 생물종 보호를 넘어, 기후 위기 속 자연 생태계 회복을 위한 장기적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이라며,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환경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유엔은 꿀벌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매년 5월 20일을 ‘세계 꿀벌의 날(World Bee Day)’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LG, 멸종 위기 ‘토종 꿀벌’ 살리기 나섰다…생태수목원 인근에 서식지 조성 - 스페셜경제
LG가 멸종 위기에 처한 토종 꿀벌 보호를 위한 생태계 회복 사업에 본격 나섰다.LG는 최근 산하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 광주시 곤지암 ‘화담숲’ 인근 정광
www.speconom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