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3E 출하 확대 주효…1분기 점유율 36%로 선두 차지
SK하이닉스가 올해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처음으로 점유율 1위 자리에 올랐다. 고대역폭메모리(HBM) 5세대 제품인 HBM3E의 출하 확대로 시장 내 주도권을 확보한 결과다.
3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해 1분기 D램 부문에서 97억1,800만 달러(약 13조 원)의 매출을 올리며 시장 점유율 36%로 선두를 차지했다.
전 분기 대비 매출은 7.1% 감소했으나, HBM3E 비중 확대 덕분에 평균판매단가(ASP)를 방어해 1위 자리를 꿰찼다.
반면, 삼성전자는 91억 달러(약 12.2조 원)의 매출로 점유율 33.7%를 기록하며 2위로 내려섰다. 전 분기 대비 매출은 19.1% 급감했으며, 주요 원인은 HBM3E 출하 부진과 중국 수출 제약으로 분석된다.
특히, 제품 재설계 이후 고가 HBM3E의 공급이 일시적으로 위축된 점이 영향을 미쳤다.
미국 마이크론은 65억7,500만 달러(약 8.8조 원)의 매출로 3위를 유지했다. ASP 하락에도 불구하고 HBM3E 매출 확대로 전 분기 대비 2.7% 매출 성장을 이뤘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1분기 글로벌 D램 매출은 전 분기 대비 5.5% 줄어든 270억1,000만 달러에 그쳤다"고 분석하면서도, 2분기에는 반등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특히 PC OEM과 스마트폰 제조사들의 재고 정리가 마무리되면서, 미국의 상호 관세 유예 조치에 따라 시스템 생산이 확대되고 메모리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이어 "HBM을 포함한 전체 D램 계약가격이 2분기부터 상승세를 나타낼 것"이라며, 고성능 메모리 시장을 둘러싼 업체 간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SK하이닉스, 사상 첫 글로벌 D램 점유율 1위…HBM3E 효과 - 스페셜경제
SK하이닉스가 올해 1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처음으로 점유율 1위 자리에 올랐다. 고대역폭메모리(HBM) 5세대 제품인 HBM3E의 출하 확
www.speconom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위, 스텔란티스코리아에 시정명령…“대리점 경영 간섭” 제재 (2) | 2025.06.04 |
---|---|
경제계, 이재명 대통령에 “성장엔진 되살려 경제강국 도약 이끌어달라” (2) | 2025.06.04 |
현대차그룹, 美 ‘10대를 위한 최고의 차량’ 7개 부문 수상…4년 연속 최다 선정 (4) | 2025.06.03 |
경동나비엔, ‘녹색소비주간’ 동참…콘덴싱 보일러 할인 프로모션 진행 (1) | 2025.06.03 |
KT, 디지털인재장학생 대상 ‘AI 실무역량 스킬업’ 교육 진행 (1)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