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생보사 중심 지급여력 하락세…동양·푸본현대 등 150% 이하 기록
국내 보험사들의 지급여력비율(K-ICS·킥스)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금융당국 권고 수준인 150%를 밑도는 보험사가 5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 기조와 장기 보장성 보험 확대, 자산·부채관리(ALM) 미스매칭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6월 1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3월말 기준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 현황'에 따르면, 전체 보험사의 킥스비율은 평균 197.9%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분기(206.7%)보다 8.7%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 모두 지급여력 수준이 하향 곡선을 그렸다.
생보사의 킥스는 190.7%로 전분기보다 12.7%포인트 급락했다. 손보사도 207.6%로 3.4%포인트 하락했다. 전체 보험사의 킥스가 200%선을 밑돈 것은 기준금리 인하 흐름 속에 금리 민감도가 높은 보험 부문 전반에 리스크 요인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권고 기준인 150%에 미달한 보험사는 총 5곳으로 파악됐다. 동양생명(127.2%)과 푸본현대생명(145.5%)은 생명보험사 중 유일하게 기준 미달로 나타났고, 손해보험 부문에서는 롯데손보(119.9%), MG손보(-18.2%), 캐롯손보(68.6%)가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금감원은 지급여력 하락의 배경으로 가용자본과 요구자본의 동반 증가를 꼽았다. 3월말 기준 경과조치 적용 후 가용자본은 249조3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조3000억원 늘었다. 금리 하락과 할인율 조정에도 불구하고, 당기순이익 증가와 자본증권 발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요구자본은 같은 기간 5조9000억원 증가한 126조원에 달했다. 장기 보장성보험 확대에 따른 장해·질병위험액이 3조원 늘었고, 자산과 부채 간 듀레이션 미스매칭 심화로 금리위험액도 1조7000억원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금융당국은 저금리 장기화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보험사들이 자산과 부채의 만기 구조를 정교하게 조율하는 ALM 전략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단순히 자산 듀레이션을 늘리는 데 그치지 않고, 부채 구조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이중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사의 재무건전성 확보를 위해 ALM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감독할 것”이라며 “지급여력이 취약한 보험사에 대해서는 자본 확충 등 선제적인 조치도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하락…지급여력 경고등 켜졌다 - 스페셜경제
국내 보험사들의 지급여력비율(K-ICS·킥스)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가운데, 금융당국 권고 수준인 150%를 밑도는 보험사가 5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
www.speconomy.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중동 리스크 속 상승 전환…외국인·기관 '사자'에 2,960선 회복 (1) | 2025.06.18 |
---|---|
정부, 소상공인 채무조정 위해 ‘배드뱅크’ 설립 추진…연내 조정 완료 목표 (5) | 2025.06.18 |
코스피, 중동 긴장 완화 기대에 3000선 눈앞…반도체·개인 매수세 주도 (2) | 2025.06.17 |
기보, 상반기 2,873억원 규모 P-CBO 발행…기술중소기업 자금 지원 확대 (2) | 2025.06.16 |
7월 DSR 규제 앞두고 가계대출 '급증'…열흘 만에 2조원↑ (1)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