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견 건설사 법정관리 잇따라... 레미콘 업계 '자금 회수 비상'

스페셜경제의 T스토리 2025. 3. 28. 17:24
대금 지급 지연 우려에 채권 관리 강화... 영세 업체 직격탄
 

26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레미콘 공장에 일부 레미콘 차량이 멈춰 서 있다. [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박정우 기자] 올해 들어 중견 건설사들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레미콘 업계의 긴장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시공 능력 평가 50∼70위권의 건설사들이 잇달아 법정관리 절차에 들어가자, 레미콘 업체들은 대금 지급 지연과 자금 유동성 문제를 우려하며 매출채권 관리 강화에 나섰다.

28일 레미콘 업계에 따르면 주요 업체들은 기존 거래처의 여신 현황을 철저히 모니터링하며 위험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최근 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신청이 증가하면서 자금 회수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커지자, 채권 관리를 한층 강화하는 모습이다.

레미콘 업계는 건설경기 침체와 건설사들의 자금난이 장기화되면서 보수적인 경영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건설사가 늘어나다 보니 대금 지급이 늦어지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며 "현장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금 미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레미콘 업체들은 특히 건설사의 신용등급 변동이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며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자금 사정이 악화된 건설사와의 거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등 유동성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건설사 법정관리로 인한 타격은 지역 영세 레미콘 업체에 더 직접적이다. 자금 유동성 악화가 경영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영세 업체들은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자금 경색이 발생하면 도산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레미콘 업계는 과거 2008년 금융위기와 2012년 극동건설 법정관리 당시의 경험을 되새기며 위기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자금 회수가 막히면 경영이 어려워지는 만큼, 위험 신호를 감지하고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견 건설사 법정관리 잇따라... 레미콘 업계 '자금 회수 비상'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박정우 기자] 올해 들어 중견 건설사들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레미콘 업계의 긴장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시공 능력 평가 50∼70위권의 건설사들이 잇달아 법정관리 절

www.speconom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