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주택이 처음으로 10만 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별로는 중국인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외국인 소유 주택 증가세를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2024년 말 기준 외국인 토지·주택 보유 통계’ 에 따르면, 외국인이 소유한 국내 주택은 10만216가구, 주택을 소유한 외국인 수는 9만858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주택(1931만 가구) 대비 0.52% 수준이다.
주택 소유 외국인 수는 지난해 상반기(9만3414명) 대비 5.5% 늘었고, 주택 가구 수 역시 같은 기간(9만5058가구)보다 5158가구(5.4%) 증가했다.
국적별로는 중국 국적자가 5만6301가구(56.0%) 로 가장 많았고, 미국 2만2031가구(21.9%), 캐나다 6315가구(6.3%)가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외국인 소유 주택의 72.7% 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경기가 3만9144가구로 최다였고, 서울 2만3741가구, 인천 9983가구가 뒤를 이었다. 지방에선 충남(6156가구) 과 부산(3090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 유형별로는 공동주택이 9만1518가구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이 중 아파트가 6만654가구, 연립·다세대가 3만864가구였다. 단독주택은 8698가구로 집계됐다. 주택 소유 형태는 1주택자가 93.4%, 2채 이상 소유자는 6.6%였다.
이와 함께 외국인의 국내 토지 보유 면적은 2억6790만㎡ 로 전체 국토의 0.27%를 차지했다. 2023년 말 대비 1.2% 증가한 수치다. 공시지가는 33조4892억원으로, 전년보다 1.4% 늘었다.
외국인 토지 보유는 미국(53.5%) 이 가장 많았으며, 중국(7.9%), 유럽(7.1%)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18.5%), 전남(14.7%), 경북(13.6%) 순으로 많았다.
국토부는 “외국인의 부동산 거래를 정밀 분석해 이상 거래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고, 투기 목적의 부동산 취득은 엄격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외국인 소유 주택 10만가구 첫 돌파…중국인이 절반 이상 차지 - 스페셜경제
지난해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주택이 처음으로 10만 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별로는 중국인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외국인 소유 주택 증가세를 주
www.speconom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U, 트럼프 철강 관세 인상에 “강력한 유감”…맞대응 경고 (1) | 2025.06.02 |
---|---|
쿠팡로지스틱스, 6월 3일 ‘로켓배송’ 주간 중단…대선일 유급휴무 결정 (1) | 2025.06.02 |
LG생활건강, 더크렘샵 완전 인수…919억 원에 잔여 지분 매입 (1) | 2025.05.30 |
공정위, 푸라닭·60계치킨에 시정명령…“비본질 품목 강제구매는 불공정행위” (2) | 2025.05.30 |
한전, 중동 미래에너지 시장 정조준…11개 프로젝트로 입지 강화 (0) | 2025.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