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배달 전문점 “소비쿠폰 실효성 의문”…대면 결제 제한에 정책 사각

스페셜경제의 T스토리 2025. 7. 10. 08:34
정부 “매출 확인 위해 불가피”…소상공인 “정책 취지 살리려면 개선 필요”

 

서울 시내 식당가에서 배달라이더들이 음식을 배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인천 남동구에서 배달 전문 삼겹살집을 운영하는 박모씨(31)는 최근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소식을 들었지만 마음이 무겁다.

매출이 하루 20만원가량 줄어든 상황에서 쿠폰 발행은 분명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배달 앱으로 주문받는 가게 특성상 쿠폰 사용이 ‘대면 결제’에만 가능하다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 그는 “하루 종일 대면 결제 주문이 한 건도 없는 날이 더 많다”며 “정책에서 배달 전문점이 소외된 것 같다”고 토로했다.

오는 21일부터 정부가 시행하는 소비쿠폰 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마련됐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사업을 위해 12조1709억원의 2차 추가경정예산을 확보했으며, 국민 1인당 15만~55만원의 쿠폰을 지급한다.

쿠폰 사용처는 전통시장, 동네마트, 학원 등으로 한정되고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 쇼핑몰과 면세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배달앱은 ‘가맹점 단말기를 통한 대면 결제’만 예외적으로 허용된다.

문제는 대면 결제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거의 없다는 점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결제가 일상화되면서 배달 앱에서 카드·계좌이체로 미리 결제하는 방식이 대세가 됐다.

오히려 비대면 결제에만 적용되는 할인쿠폰이 많아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추세다. 여기에 배달 기사들 역시 “대면 결제는 시간이 더 걸린다”며 기피하는 분위기다.

인천 미추홀구에서 디저트 배달 전문점을 운영하는 오모씨(34)도 “고객에게 불편함을 주는 조건이면 오히려 이용을 꺼리게 된다”며 “결제수단의 다각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배달업계 관계자는 “대면 결제는 법인카드나 현금을 쓰는 일부 고객층에 국한돼 있어 비중이 크지 않다”며 “결국 정책 효과가 배달 전문점에는 거의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의 취지를 살리려면 기술적·행정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류필선 소상공인연합회 전문위원은 “배달 전문점 역시 영세 소상공인이 많은 만큼 소비쿠폰 혜택이 골고루 돌아가야 한다”며 “대면 결제 조건을 완화하거나 배달 앱 매출도 가게 매출로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행안부는 신중한 입장이다. 관계자는 “앱에서 결제하면 매출이 배달 앱 회사에 잡히기 때문에 단말기를 사용한 결제만 허용할 수밖에 없다”며 “사용처 확대에 대해서는 계속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달 전문점 “소비쿠폰 실효성 의문”…대면 결제 제한에 정책 사각 - 스페셜경제

인천 남동구에서 배달 전문 삼겹살집을 운영하는 박모씨(31)는 최근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소식을 들었지만 마음이 무겁다.매출이 하루 20만원가량 줄어든 상

www.speconom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