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서울 시내버스노조, 30일부터 준법투쟁 돌입…임금협상 결렬 여파

스페셜경제의 T스토리 2025. 4. 30. 14:25
노조, 총파업 대신 안전운행 중심 준법투쟁…“시민 불편 최소화” 강조
기본급 인상·정년 연장 등 추가 요구도 병행…5월 8일 이후 수위 조정 예고

서울시내 차고지에 버스가 세워져 있다. [사진=뉴시스]

 

서울 시내버스 노동조합이 30일 오전 첫차부터 준법투쟁에 나선다. 이는 운행을 중단하는 총파업보다는 낮은 수위의 쟁의행위로, 노조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전운행 중심의 경고성 행동을 전개하겠다는 입장이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서울시버스노조는 이날 오전 2시경 사용자 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의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이 최종 결렬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전날 오후 5시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주재로 마라톤 조정회의가 진행됐지만, 양측은 끝내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핵심 쟁점은 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다. 노조는 지난해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판결을 근거로, 격월로 지급되는 상여금(기본급의 100%)도 통상임금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사측과 서울시는 해당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판례 변화에 따른 임금 체계 전반의 개편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외에도 노조는 기본급 8.2% 인상, 동일노동 임금격차 해소, 정년 연장(63세 → 65세)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이날 오전 4시부터 준법투쟁에 돌입했다. 구체적으로는 승객 전원이 착석하거나 손잡이를 잡은 것을 확인한 뒤 출발하며, 급정거·급출발·급차로 변경을 자제하는 등 안전 운행에 집중한다.

또한 휴게시간에는 차량 이동 등 부가적인 업무도 거부할 계획이다.

노조는 우선 이날 하루 준법투쟁을 경고성으로 시행하고, 5월 1일부터 연휴 기간에는 정상 운행에 들어간다. 다만, 협상이 진전되지 않을 경우 5월 8일 예정된 전국자동차노조 지역 대표자 회의에서 향후 투쟁 수위를 논의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이번 준법투쟁으로 전면 운행 중단은 피했지만, 버스 운행 속도 저하, 배차 간격 확대 등 시민 불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지하철 등 대체 교통수단의 적극적인 활용을 당부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노사 간 갈등이 해소되지 않은 만큼 파업으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조속한 합의를 통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서울시도 중재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울 시내버스노조, 30일부터 준법투쟁 돌입…임금협상 결렬 여파 - 스페셜경제

서울 시내버스 노동조합이 30일 오전 첫차부터 준법투쟁에 나선다. 이는 운행을 중단하는 총파업보다는 낮은 수위의 쟁의행위로, 노조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면서도 안

www.speconom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