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933억 달러·무역흑자 727억 달러… 제조업 성장 주도
현대차그룹 경제기여액 359조원… 전 산업군 중 압도적 1위
자동차 산업이 한국 경제의 핵심 성장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수출, 고용, 투자, 지역경제 균형발전 등 다방면에서 경제 전반에 걸쳐 긍정적 파급효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2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자동차 산업의 수출로 인한 생산유발액은 2365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주요 수출품목 중 3년 연속 1위를 기록한 수치로, 자동차가 갖는 전후방 연관 효과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완성차 수출은 708억 달러, 부품까지 포함한 전체 수출은 933억 달러로 집계됐다. 무역수지도 727억 달러 흑자로, 전체 무역흑자의 1.4배에 달했다.
고용 측면에서도 자동차 산업의 역할은 막대하다. 산업 전반에서 직·간접적으로 150만명을 고용하고 있어 철강(41만명), 반도체(28만명) 등 타 산업을 압도한다. 제조업 평균 대비 13% 높은 평균임금도 주목할 만하다.
생산거점 분포도 전국적으로 고르게 형성돼 있다. 동남권(35%), 수도권(29%), 충청권(16%), 호남권(11%), 대구·경북권(9%)에 생산시설이 분산돼 지역 인구 분산과 자립경제 기반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는 반도체·조선업 등 특정 지역 집중 산업과 대조된다.
국내 주요 기업집단 중 현대차그룹의 경제기여도는 독보적이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차그룹 9개사의 경제기여액은 총 359조4384억원으로, 전체 100대 기업 중 비중 22.3%로 1위를 차지했다. 현대차(115조원), 기아(86조원), 현대모비스(52조원)가 상위를 형성하며 그룹의 경제적 영향력을 입증했다.
국가재정 기여도 눈에 띈다. 2022년 자동차 산업의 국세 납부액은 42조원으로, 이는 정부 R&D 예산의 1.4배에 달하는 규모다. 자동차 산업이 세수와 국가 재정에 미치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한편 자동차 업계는 보호무역주의 강화, 중국 자동차 시장 약진, 글로벌 전기차 수요 둔화 등 복합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 정부 차원의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지난 24일 열린 자동차모빌리티산업포럼에서 강남훈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 회장은 “150만명을 고용한 자동차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철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R&D 투자 확대가 시급하다”고 지적했고, 김준기 현대모비스 상무는 세제 혜택과 부품업계 지원 강화를 요청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자동차 경쟁은 이제 국가 간 경쟁으로 확대됐다”며 “K-자동차가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범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K-자동차’ 국가경제 견인… 수출·고용·지역균형까지 전방위 기여 - 스페셜경제
자동차 산업이 한국 경제의 핵심 성장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수출, 고용, 투자, 지역경제 균형발전 등 다방면에서 경제 전반에 걸쳐 긍정적 파급효과를 내고 있다
www.speconom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모비스, 최근 3년간 협력사에 150조원 지급…ESG 기반 동반성장 가속 (2) | 2025.06.26 |
---|---|
대우건설 ‘라체르보 푸르지오 써밋’ 사전점검 성료… 하이엔드 주거 역량 과시 (4) | 2025.06.26 |
HDC현대산업개발, 송파한양2차 재건축에 세계적 건축사 SMPD와 손잡아 (1) | 2025.06.26 |
LG에너지솔루션, 협력 중소기업에 1500억 투입…지속가능 성장 동력 마련 (2) | 2025.06.26 |
르노코리아, 폴스타 4 생산 시동…부산공장 글로벌 수출기지로 도약 (4) | 202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