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 교수(대림대 미래자동차공학부, 김필수자동차연구소장).

 

최근 주요국이 펼치고 있는 주도권 싸움 가운데 하나가 자동차, 특히 전기차다. 자동차 산업이 여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다 보니, 각국이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다만, 2010년대 중후반부터 내연기관 차량에서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로 시장의 흐름이 변하면서, 주도권 싸움이 더욱 치열해졌다.

이중 세계 경제를 양분하고 있는 주요국(G)2인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볼 만하다.

주요국보다 10년을 앞선 중국 전기차 산업이 현재 세계 시장의 50%를 점유하고 있어서다. 이 같은 점유에는 중국 정부의 보이지 않는 구매보조금 등 다양한 불법지원이 자리하고 있다.

이를 빌미로 서방이 중국산 전기차의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세금을 들고 나왔다. 중국산 저가 전기차가 서방에 나오면 경쟁 자체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무거운 관세를 물리는 것이다.

우선 미국이 총성을 쐈다.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를 배제하기 위해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최근 천명했다. 자국에 중국산 전기차의 진출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로 인해 현재 중국산 전기차가 현지 시장에 발을 들여 놓지 못하는 있지만, 미국 정부가 관세를 4배로 높여 중국산 전기차가 자국에 아예 발을 못 붙이게 한다는 방침이다.

미국 정부가 여기에 중국산 태양광 패널, 배터리 등에도 기존보다 2~4배 정도의 높은 관세를 적용하는 작업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이 멕시코 등 통해 우회 수출을 시도하고 있지만, 미국이 이에 대한 제재도 마련하고 있다.

유럽연합(EU) 역시 반덤핑 관세로 중국산 전기차의 진입을 막았으며, 이미 진입한 차량에 대한 제제도 도출했다. 아울러 브라질과 터키 등도 중국산 전기차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중국이 이를 타계할 방법을 찾고 있지만, 상황이 녹록하지 않다.

경기도 시내버스 업체가 도입한 중국 전기차 업체 킹롱이 만든 전기버스. [사진=스페셜경제]


현재 중국이 자국산 전기차를 한국에 직접 판매하면서도, SKD, CKD 등 반제품 형태로도 공급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 부품을 수출해 국내 조립공장에서 완성차로 만드는 것이다. 이는 무거운 관세를 피할 수 있고, 완성차가 ‘메이드 인 코리아’다.

중국이 미국 등 자국 전기차에 적대적인 나라에 이를 공급한다.

이 같은 중국의 전략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 중국 전기차 업체가 세계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고, 중국이 많은 나라와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자국 기업을 지원하고 있어서다.

미국과 EU 등이 이 같은 중국의 우회 전략도 간파하고, 대응책을 마련한다.

반대급부도 나타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전기차가 주요국에서 약진하고 있는 것이다. 현재 현대차의 아이오닉 전기차와 기아 전기차 EV가 없어서 못 팔 정도로 미국에서 인기고, 이들 전기차의 EU 점유율이 11%로 상승했다.

반면, 우리나라도 마냥 좋아할 수 없다.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국내 기업이 중국 전기차 업체 선롱이 만든 (위부터)전기버스를 도입하고, 이를 후회한다는 손팻말을 만들었다. [사진=스페셜경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폭탄이 중장기적으로는 우리에게 긍정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세계 최대 소비시장인 중국 역시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보복관세를 매길 공산이 높다. 

우리나라의 교역 1위 나라가 중국이다. 결국, 보복관세가 국산품의 중국 경쟁력 저하로 이어져, 우리 경제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자원 빈국인 우리의 경제가 원자재 등을 수입해, 가공 이후 수출하는 수출 주도형이라서다.

게다가 중국산 전기차가 주요 시장인 미국, EU 등에 진입하지 못할 경우, 국산차 업체가 새롭게 개척을 추진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중동, 남미 등으로 눈을 돌릴 공산이 크다.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차별화한 정책과 신제품 개발, 현지 맞춤형 마케팅 등을 민관이 함께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심각하고, 시급하다.

 

 

 

 

 

[김필수 교수의 으랏車] 美·EU 등 中 전기차에 관세폭탄, 韓 경제에 부정적 - 스페셜경제

최근 주요국이 펼치고 있는 주도권 싸움 가운데 하나가 자동차, 특히 전기차다. 자동차 산업이 여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다 보니, 각국이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다만, 2010년대

www.speconom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