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 4조5천억원 육박, 전년比 19%↑…영업이익 2천900억원 달성
순익1천억원, 코로나19 3년간 적자극복…애경산업 등 자회사 덕
​​​​​​​주가, 우상향…증 “투자 의견 매수와 목표 주가 5만원” 각각 제시
백차현 AK홀딩스 대표이사가 취임 첫해를 성공적으로 보냈다. 사상 최고 매출과 영업이익을 달성해서다. [사진=스페셜경제, AK홀딩스]

[스페셜경제=박숙자 기자] 백차현 AK홀딩스 대표이사가 취임 첫해를 성공적으로 보냈다. 사상 최고 매출과 영업이익을 달성해서다. 백차현 대표는 코로나19 3년간의 적자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 1월 AK홀딩스의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AK홀딩스의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2852억원이다.

이로써 AK홀딩스는 2000년부터 전년(218억원)까지 영업손실을 극복하고 지난해 사상 최고를 구현했다. AK홀딩스의 종전 최고 영업이익은 2018년 2697억원이다.

지난해 AK홀딩스의 매출도 4조4880억원으로 종전 최고인 전년(3조7880억원)보다 18.5% 크게 늘었다. 이에 따른 AK홀딩스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6.4%다. 이는 백차현 대표가 1000원치를 팔아 64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 AK홀딩스는 코로나19 3년간 경영을 하면 할수록 손해였다. 이로 인해 통상 영업이익이 경영능력을 말한다.

AK홀딩스는 지난해 순이익 1091억원을 달성해 역시 코로나19 3년간의 적자를 넘었다. 이로 인해 AK홀딩스는 영업이익률과 함께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도 시현했다. 지난해 AK홀딩스의 ROA, ROE가 각각 2%, 8.6%로 전년 마이너스를 넘어선 것이다.

AK홀딩스는 이에 대해 생활용품, 화장품 등의 해외 시장 진출 확대와 사업 다변화에 따른 자회사 실적개선과 항공운송 부문에서 신규 항공기 도입과 국제선 투입, 여객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AK홀딩스의 주력으로 생활용품 등의 제조와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애경산업의 전년대비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이 9.6%(6104억원→6687억원), 58.7%(390억원→619억원), 191%(167억원→486억원) 각각 급증했다.

애경산업의 영업이익률과 ROA, ROE도 각각 9.3%, 10.1%, 12.5%로 전년보다 2.9%포인트, 6.6%포인트, 7.8%포인트 상승했다.

제주항공도 지난해 비상했다. 매출이 수직으로 증가하면서 영업이익과 순이익을 각각 달성해 전년 적자를 극복해서다. [사진=스페셜셜경제]

제주항공도 선방했다. 지난해 매출이 1조7240억원으로 전년보다 145.4%(1조215억원) 급증하면서, 영업이익(1698억원), 순이익(1308억원)을 각각 달성해 전년 적자를 극복했다.

다만, 애경케미칼의 전년대비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이 각각 17.6%(2조1764억원→1조7937억원), 52.7%(951억원→450억원), 43.8%(594억원→334억원) 줄었지만, 흑자를 내면서 백차현 대표의 호실적에 힘을 보탰다.

지난해 수요 감소로 석유화학 업황 침체에 따른 것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이 같은 흑자로 이들 3사는 배당하고, 주주 이익을 극대화한다. 애경케미칼이 보통주에 250원, 모두 121억원을 배당한다. 애경산업은 580원에 149억원을, AK홀딩스는 200원에 26억원을 각각 배당한다.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AK홀딩스 주가가 오르고 있는 이유다. AK홀딩스의 주당 주가는 지난해 3월 23일 1만5450원으로 최근 1년 사이 최저를 기록했지만, 지난달 19일에는 1만8030원으로 올랐다. 19일에는 1만 554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증권가 한 관계자는 “AK홀딩스가 평가가치 매력 등으로 이익을 극대화할 것”이라며 AK홀딩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만5800원을 각각 제시했다.

 

 

 

 

 

[2023 결산] 백차현 AK홀딩스대표, 취임첫해 ‘성공’…사상최고 매출·수익 달성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박숙자 기자] 백차현 AK홀딩스 대표이사가 취임 첫해를 성공적으로 보냈다. 사상 최고 매출과 영업이익을 달성해서다. 백차현 대표는 코로나19 3년간의 적자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

www.speconomy.com

 

 
이자 수익 18조4천억원, 전년대비 46% 급증해
영업이익·순익, 3·2조원대 유지…8천억원 배당
고배당, 주가강세…“목표가 1만6천원으로 올려”
 
김성태 IBK 기업은행 은행장이 지난해 선방했다. 사상 최고 수익을 달성해서다. [사진=스페셜경제, 기업은행]

 

[스페셜경제=남하나 기자] 김성태 IBK 기업은행 은행장이 지난해 선방했다. 사상 최고 수익을 달성해서다. 김성태 은행장은 지난해 1월 제27대 은행장으로 취임했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IBK 기업은행의 지난해 연결기준 이자 수익이 18조3641억원으로 전년(12조6025억원)보다 45.7% 증가했다.

지난해에도 기준금리가 3.5%로 고공행진을 해서다.

같은 기간 IBK 기업은행의 영업이익은 비용 등이 늘면서 5.9%(3조6470억원→3조4323억원) 줄었다.

다만, IBK 기업은행의 지난해 순이익은 법인세 감소 등으로 2조6752억원을 기록해, 전년(2조6747억원) 수준을 유지했다.

이를 고려해 IBK 기업은행은 보통주에 984억원, 모두 7847억원을 배당한다. 이중 최대 주주인 기획재정부가 4468억4000만원(4억7443만991주, 지분율 59.5%)을, 산업은행이 564억9000만원(5740만5282주)을, 수출입은행이 144억8000만원(1471만1153주, 1.8%)을 각각 가져간다.

IBK 기업은행의 배당률은 7.3%로 고배당이다.

이로 인해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IBK 기업은행의 주가가 오르고 있다.

IBK 기업은행의 주당 주가는 1월 5일 1만1350원으로 최근 3개월 사이 최저를 기록했지만, 이달 15일에는 1만6010원으로 이 기간 최고를 기록했다. 19일에는 1만47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은경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IBK 기업은행이 전년 수준의 이익 체력을 유지한 만큼 시장에서 기대하는 배당금 지급에 무리가 없다. 대주주인 기재부의 세수 부족 상황도 IBK 기업은행의 배당 확대 당위성을 높인다”며 IBK 기업은행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1만3500원에서 1만6000원으로 올렸다.

한편, 지난해 말 현재 IBK 기업은행의 이익잉여금은 26조7113억원으로 전년(23조2512억원)보다 14.9% 크게 늘었다.

 

 

[2023 결산] 김성태 IBK 기업은행장, 취임 1년차 호실적…사상최고 수익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남하나 기자] 김성태 IBK 기업은행 은행장이 지난해 선방했다. 사상 최고 수익을 달성해서다. 김성태 은행장은 지난해 1월 제27대 은행장으로 취임했다.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IBK

www.speconomy.com

[스페셜경제=정수남 기자] 서희건설이 28일 주주총회를 열고, 지난해 실적을 내놓는다. 다만, 최근 건설 경기침체로 지난해 실적을 낙관할 수 없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실제 서희건설의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 3652억원, 영업이익 397억원, 순이익 98억원을 각각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64.3%(6574억원), 69%(884억원), 90.5%(938억원) 각각 급감한 수준이다.

반면, 서희건설은 보통주에 45원, 모두 90억원을 배당한다. 이중 이봉관 회장과 자녀 3명 등 사주가가 6억6000만원(1467만7889주, 지분율 6.39%)를 가져간다. 계열사가 가져가는 배당금 가운데 사주가가 받는 배당금을 더하면, 이봉관 회장 일가가 받는 배당금은 더 증가할 것이라는 게 업계 풀이다.

최근 수도권 도시에서 카메라로 잡았다.

서희건설이 자사의 공동주택을 택배 차량을 통해 알리고 있다. [사진=정수남 기자]

 

한편, 서희건설의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이익잉여금이 693억원이다.

 

 

서희건설, 4분기 실적 개선했나?…배당으로 사주 이봉관 회장 배만 불려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정수남 기자] 서희건설이 28일 주주총회를 열고, 지난해 실적을 내놓는다. 다만, 최근 건설 경기침체로 지난해 실적을 낙관할 수 없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www.speconomy.com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선대위원장이 19일 서울 마포구를 찾아 유권자를 만났다. [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정미송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이 20일 경기 안양을 찾아 4월 표심을 공략한다.

국민의힘에 따르면 한동훈 위원장이 이날 오전 경기 안양 남부새마을금고에서 현장 선거대책위원회의를 주재한다.

그는 이어 초원어린이공원, 관양시장으로 이동해 시민을 만난다. 최돈익(안양 만안), 임재훈(안양 동안갑), 심재철(안양 동안을) 후보가 한동훈 위원장을 동행한다.

안양 만안구, 동안갑, 동안을은 모두 더불어민주당이 지역구를 차지하고 있다.

한동훈 위원장이 “21일간 국민의힘 승리를 위해서, 서서 죽겠다는 각오로 절실하게 뛰겠다”고 말했다.

 

 

한동훈 국힘 선대위원장, 오늘 안양서 “절실하게 뛴다”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정미송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이 20일 경기 안양을 찾아 4월 표심을 공략한다.국민의힘에 따르면 한동훈 위원장이 이날 오전 경기 안

www.speconomy.com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사진=뉴시스]

 

[스페셜경제=정미송 기자] 정부가 2000명이 늘어나는 2025학년도 의과대학 학생 정원 증원분에 대한 대학별 배분 결과를 20일 오후에 내놓는다. 지방 거점국립대와 정원 40~50명대의 의대는 많게는 현재 2배까지 정원이 늘어날 전망이다.

이날 관계부처에 따르면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국민 담화를 내고,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증원 결과를 발표한다.

앞서 정부가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이 입시를 치를 2025학년도부터 의대 정원을 현재 3058명에서 5058명으로 2000명 증원키로 했다.

정부가 의대를 둔 40개 대학에 수요조사 시행 결과, 3401명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답변을 도출했다. 이후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등이 배정위원회를 열어 심사를 진행했다.

위원회가 증원 정원을 비수도권에 80%(1600명), 수도권에 20%(400명) 수준으로 배분한다는 계획이다. 이중 수도권의 경우 서울 지역 의대 증원을 최소화하고, 경기와 인천 등에 증원을 집중한다는 게 위원회 방침이다.

현재 비수도권 의대는 27개교에 2023명이며, 수도권은 13개교에 1035명이다. 서울은 8개교에 826명, 경기와 인천은 5개교에 209명 등이다.

다만, 위원회는 국립대 의대의 경우 해당 대학의 소재지 출신 고교 졸업생이 지원할 수 있는 지역인재 선발 전형 비율을 전체 60%까지 확대한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비수도권 의대 입학시 지역인재 전형으로 60% 이상 충원토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역인재 전형 선발 대상 지방의대는 26곳으로, 지난해 확정한 2025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시행 계획 기준 60% 이상을 충족한 곳은 동아대, 부산대, 전남대, 경상국립대, 전북대, 조선대, 대구가톨릭대 등이다.

현재 지역인재 전형의 선발 규모 법정 기준은 지역 내 인구가 적은 제주와 강원 지역만 20%가 적용되며, 나머지 비수도권 의대는 40% 이상을 충원해야 한다.

강원대와 제주대를 제외한 충북대, 충남대, 경북대, 경상국립대, 부산대, 전북대, 전남대 등 거점국립대 7개교의 정원이 20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 美 테슬라 유일 대항마…세계가 인정, 전기차 관련 상 싹쓸이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전기자동차 세계 1위인 미국 테슬라를 곧 따라잡을 태세다. 올해 펼쳐진 자동차 관련 시상식에서 현대차그룹 전기차가 최고상을 모두 휩쓸어서다.

www.speconomy.com

 

우리은행 징계 임원, 퇴임 석달만에 자회사 대표로
취임사서 “불투명하고 공정하지 못한 인사 멈춰야”

(왼쪽부터)강신국 우리은행 전 부행장, 이문석 전 부행장. [사진=우리은행]

 

[스페셜경제=박숙자 기자] 우리금융지주(회장 임종룡)의 도덕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아울러 임종룡 회장의 말도 허언으로 드러났다.

우리금융의 주력인 우리은행이 징계를 받아 퇴직한 임원을, 우리은행 자회사 대표로 다시 채용해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금융이 15일 자회사 대표이사 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자회사인 우리PE자산운용에 강신국 우리은행 전 기업투자금융부문장을 최종 후보로 추천했다.

강신국 전 부행장은 이달 말 있을 우리PE자산운용 주주총회에서 최종 선임 이후 공식업무를 시작한다.

다만, 강신국 전 부행장이 1000억원대 파생상품 손실사고로 인해 징계를 받고 지난해 12월 퇴임했다.

앞서 우리은행이 962억원의 파생상품 손실을 낸 것과 관련해 전임 자금시장그룹장이던 강신국 부문장에게 지난해 11월 견책 처분을 내렸다.

우리은행의 임원 제재는 주의-주의적 경고-견책 경고-직무 정지-해임 권고 등이 있으며, 견책의 경우 감봉·직무 정지 등의 물리적 제제가 따르지는 않지만 향후 인사 등에서 불이익을 받는다.

당시 손실은 ELS(주가연계증권)상품 관련 파생상품 운용 과정에서 주식옵션 변수 데이터(헤지포지션)에 대한 잘못된 평가방법을 적용해 발생했다.

우리은행은 이를 인식해 962억원의 평가손실을 지난해 6월 반영했다. 해당 손실의 상당 부분은 강신국 전 부행장이 자본시장그룹장으로 재직하던 지난해 발생했다.

이이 대해 헤지포지션에 대한 평가 기능 오류로 손실 규모가 이례적으로 커 사실상 회복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리스크 관리도 소홀했다는 게 업계 일각의 지적이다.

이로 인해 강신국 전 부행장과 함께 이문석 전 우리은행 부행장도 주의 처분을 받고 연말 인사에서 교체됐다.

이문석 전 부행장 역시 우리은행 관계회사인 윈피앤에스(P&S) 대표로 내정됐다.

파생상품 손실에 대한 책임을 진 인사가 지난 연말 퇴사하면서, 임종룡 회장의 취임사가 탄력을 받는 분위기였다. 반면, 이들 징계 인사가 3개월 만에 현업에 복귀하면서 임종룡 회장의 말도 신뢰할 수 없다는 게 업계 일각의 풀이다.

임종룡 회장이 이 지난해 3월 취임사에서 “불투명하고 공정하지 못한 인사는 반드시 멈춰야 한다”고 말한 바 있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임종룡 회장이 취임사에서 분열과 반목의 정서, 낡고 답답한 업무 관행, 불투명하고 공정하지 못한 인사 등 음지의 문화를 반드시 멈춰야 한다며 조직 쇄신 의지를 표명했다. 현실에서는 임종룡 회장도 전관예우 관행을 벗어나지 못하는 구태를 보였다”고 강조했다.

 

 

 

 

 

임종룡 회장 우리금융, 도덕성 ‘구멍’…회장 말도 허언으로 드러나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박숙자 기자] 우리금융지주(회장 임종룡)의 도덕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아울러 임종룡 회장의 말도 허언으로 드러났다.우리금융의 주력인 우리은행이 징계를 받아 퇴직한 임원을,

www.speconom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