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유가격 지속 상승 중…휘발유 가격比 92%비중
政, 130%로 올린다…“규제 지속 강화, 이점 없어”


[스페셜경제=남하나 기자] 국내 대통령 탄핵 정국이 지속하는 가운데, 정부와 정치권이 민생안정을 위해 주력하고 있다. 주로 설 명절 제수용품 가격 안정을 위해서다.
반면, 민족의 대이동에 따른 석유제품 가격에 대한 초치가 없다. 정부와 정치권의 이 같은 행보가 생색내기라는 지적을 받고 있는 이유다.
21일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유가 정보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전국 주유소의 리터(ℓ)당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각각 1569원, 1480원이다.
이후 이들 유가가 등락하다, 지난해 말에는 각각 1564원, 1497원으로 연초보다 –0.3%, 1.1% 올랐다. 게다가 정부의 유가 정책으로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의 85% 수준이지만, 지난달 말 가격이 95.7%다.
이를 지역별로 보면 같은 기간 대전이 6.3%(1549원→1641원)로 가장 많이 올랐으며, 서울이 4.3%(1643원→1714원)로 가장 적게 올랐다. 다만, 서울 유가가 전국에서 가장 비싸다.
19일 전국 주유소 평균 휘발유 가격이 1721원, 경유가 1578원이다. 경유 가격이 휘발유 가격의 91.7% 비중이다.
이 같은 경유 가격 강세가 국제 유가가 올라서다, 국내 유가에 2주의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 싱가포르 시장에서 지난해 9월 배럴(159ℓ)당 휘발유가 78달러, 경유가 83달러로 최근 1년 사이 최저를 기록했다. 이달 들어서는 각각 85달러(12만4000원), 94달러로 올랐다. 4개월 사이 휘발유가 9%, 경유가 13.3% 각각 오른 셈이다.
경유 가격이 여전히 높고, 앞으로도 경유 가격이 강세를 기록할 것이라, 많은 경유 차량 운전자가 경유의 유류세 인하를 정부에 주문하고 있다.
19일 가격으로 환산한 유류세가 경유 537.4원, 휘발유 743.2원이다. 이날 유류 가격에 세금이 각각 34.1%, 43.2%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경유 차량의 경우 1급 발암물질인 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질소산화물을 배출한다. 이를 고려해 정부가 경유차에 환경부담금을 매년 매기고 있다.
아울러 정부가 경유 가격을 지속해 올린다는 방침이다. 2004년 유류가격 개편으로 종전 휘발유 가격의 50% 수준이던 경유 가격을 65% 수준으로 올린 이후, 현재 85% 수준이다.

앞으로 정부가 경유 가격을 휘발유 가격과 같게 하고, 이어 휘발유 가격대비 130%까지 인상한다는 계획이다.
경기 성남대로에서 주유소를 운영하는 김형태 사장(51, 남)이 “2015년 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경유 차량 배기가스 조작사건) 이후 경유 차량이 천덕꾸러기로 전락했다. 앞으로도 우리 정부를 비롯해 주요국이 경유 차량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것이라, 경유차에 대한 이점이 없다”고 지적했다.
회사원 김진아(54, 여) 씨도 “2011년형 국산 중형 경유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가족 차량으로 이용하고 있다. 세금과 유류가격이 부담이다. 조만간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바꿀 예정이지만, 앞서 정부가 서민 부담완화 차원에서 경유 유류세를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유가에 4주의 시간을 두고 영향을 미치는 두바이유 현물 가격이 지난해 4월 5일 배럴당 91달러로 최근 1년 사이 최고를 보였지만, 이달 17일에는 85달러로 % 떨어졌다.
政·정치권, 말만 민생안정…경유차 버려라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남하나 기자] 국내 대통령 탄핵 정국이 지속하는 가운데, 정부와 정치권이 민생안정을 위해 주력하고 있다. 주로 설 명절 제수용품 가격 안정을 위해서다. 반면, 민족의 대이동에 따
www.speconomy.com
'스페셜 pi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계 4위 LG, 한 박자 쉬지만…주가 강세, 왜? (0) | 2025.01.23 |
---|---|
방준혁 넷마블 의장, 올해 웃는다…서장원 코웨이 대표 덕 (1) | 2025.01.22 |
현대차·기아, 지난해 실적도 사상 최고 유력 (0) | 2025.01.20 |
전중선 포스코건설 ‘절치부심’ 對 이정환 두산건설 ‘승승장구’…경기 성남서 ‘맞짱’ (0) | 2025.01.17 |
강호찬 부회장 넥센타이어, 2년 연속 선방 불구…업계 최하위 (1)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