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월 기업심리, 코로나19 이후 최악…건설 둔화·내수 부진탓

스페셜경제의 T스토리 2025. 2. 21. 14:50

경기 시화공단. [사진=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기업의 체감경기가 넉달째 하락하며, 코로나19 대확산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건설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 등에 비제조업 업황이 하락한 탓이다.

한국은행이 기업경기조사 결과를 통해 2월 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0.6포인트 하락한 85.3을 기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2020년 9월(83.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CBSI가 기업 심리의 종합적 판단을 위해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가운데 주요지수(제조업 5개, 비제조업 4개)를 산출한 심리지표로 지난해 6월부터 신규 편제됐다. 장기평균치(2003년 1월 ~ 2023년 12월)를 기준값 100으로, 이보다 높으면 낙관적, 낮으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제조업 CBSI는 90.1로 1.1포인트 올랐다. 생산, 업황 등이 주요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 비제조업은 전월대비 1.9포인트 내린 81.7을 기록했다.

이달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가운데 제조업 실적이 자동차, 1차금속, 전자·영상·통신장비를 중심으로 개선했다. 비제조업 실적은 건설업과 도소매업, 전문, 과학, 기술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악화했다.

기업심리 전망이 개선했지만 낙관적으로 보기 어렵다. 3월 기업심리지수 전망이 전월대비 2.6포인트 상승한 88.0으로 나타났다. 제조업 기업심리지수 전망도 전월대비 2.0포인트 오른 91.1로, 비제조업은 3.2포인트 상승한 85.8로 각각 파악됐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가운데 3월 제조업 전망은 금속가공,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개선했다. 비제조업이 정보통신업과 운수창고업 등을 중심으로 개선했다. 경제심리지수가 전월보다 3.5포인트 오른 90.2를 기록했다. 순환변동치는 88.4로 전월보다 0.9포인트 하락했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이 "제조업 업황 개선에도 건설 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 등 비제조업 업황 악화에 기업 심리가 악화했다. 자동차는 승용차 수출 증가와 영업일수 증가가, 1차 금속은 트럼프 상호 관세 시행 전 선발주 수요 증가가 실적으로 잡혔다"고 말했다.

 

 

 

 

 

2월 기업심리, 코로나19 이후 최악…건설 둔화·내수 부진탓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기업의 체감경기가 넉달째 하락하며, 코로나19 대확산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건설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 등에 비제조업 업황이 하락한 탓이다.한국은행이 기업경기조

www.speconom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