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다큐 통해 ‘규제 혁신·AI 전환 기반’ 제안…“지역이 미래 산업의 중심 돼야”
[스페셜경제=박정우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광역 단위의 미래산업 실험지대 ‘메가 샌드박스’ 구상을 재차 강조하고 나섰다.
그는 “대한민국에 단 한 곳이라도 제대로 된 AI 인프라가 갖춰져야 한다”며 규제 혁신과 인재 육성,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최 회장은 최근 방영된 KBS 다큐멘터리 *‘미래 사회로 가는 길, 메가 샌드박스’*에 출연해 “AI 인프라를 기반으로 어떤 산업에서도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이 다큐 제작을 후원해, 메가 샌드박스 구상을 대중적으로 알리고자 했다고 13일 밝혔다.
그가 제시한 메가 샌드박스는 광역 시·도별로 미래산업을 선정해 관련 규제를 과감히 없애고, AI 산업 기반과 인재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를 결합한 종합 정책 플랫폼이다.
자율주행을 예로 들면, 특정 지역을 모빌리티 특화 구역으로 설정해 무인 운전·배달·순찰 관련 규제를 모두 해제하고, 이를 뒷받침할 물리적·사회적 인프라를 함께 조성하자는 구상이다.
최 회장은 교육과 일자리 연계를 통해 지역 대학 활성화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 대학을 선택하면 졸업 이후 원하는 일자리까지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며 “교육과 고용이 매끄럽게 연결돼야 지역 혁신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한, 규제 개혁에 있어서는 기존 포지티브 규제에서 벗어나 네거티브 방식으로의 전환을 주장하며, “지역이 자율적으로 글로벌 기업이 만족할 만한 조건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메가 샌드박스는 단순한 규제 완화나 인프라 조성에 그치지 않는다. 교육, 인력, 금융, 법률 등 전방위적 생태계를 개편해 기업의 혁신을 유도하는 총체적 변화 전략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최 회장은 지난해 전국 상의 회장단 회의에서도 이 개념을 소개하며 산업 생태계의 ‘총체적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한편 이번 다큐에서는 일본 도요타가 추진 중인 미래 도시 프로젝트 ‘우븐시티’도 함께 소개됐다. 도요타는 자율주행과 AI 기술 실증을 위해 약 2000명이 거주 가능한 스마트 시티를 건설하고 있다.
최태원 회장 “AI 인프라 구축 시급…광역 단위 ‘메가 샌드박스’ 조성해야”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박정우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광역 단위의 미래산업 실험지대 ‘메가 샌드박스’ 구상을 재차 강조하고 나섰다.그는 “대한민국에 단 한 곳이라도 제
www.speconom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승연 한화 회장, 창단 40주년 맞아 구장 방문…“이글스 재도약 다짐” (0) | 2025.04.14 |
---|---|
포스코·현대제철, 美 제철소 공동 투자 검토…철강 ‘빅딜’ 주목 (0) | 2025.04.14 |
위니아 회생절차 시한 임박…법원, 파산 유예 가능성 열어두나 (0) | 2025.04.14 |
박정원 회장 “유럽은 두산밥캣 제2의 홈”…건설기계 시장 공략 가속 (0) | 2025.04.14 |
무안공항, 7월까지 운항 중단…방위각시설 개선 지연에 재개 연기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