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판도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 급증 속에서 격변하고 있다. 올해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간의 기술 주도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특히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양사의 전략이 실적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HBM4 샘플을 주요 고객사에 공급하며 기술 선점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미 엔비디아에 HBM3E를 독점 공급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도 고수익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실제로 SK하이닉스는 1분기 영업이익이 약 6조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반면, 삼성전자는 메모리 시장 반등과 함께 본격적인 반격에 나설 태세다. 특히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의 HBM 품질검증(퀄테스트)을 통과할 경우, 본격적으로 HBM 공급 경쟁에 뛰어들 수 있어 SK하이닉스의 우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 내로 퀄테스트 통과가 유력한 상황이다.
더불어 삼성전자는 HBM 외에도 범용 메모리(D램, 낸드플래시) 시장에서의 회복세를 기대하고 있다.
업계는 삼성전자가 하반기부터 수익성을 빠르게 회복하며 DS부문 영업이익이 3분기 6조3000억원, 4분기 8조1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본다.
KB증권 김동원 연구원은 “글로벌 수요 회복이 공급 속도를 앞지르면서, 삼성전자는 이달부터 D램과 낸드 가격 인상에 나설 것”이라며 “가격 주도권 확보를 통한 수익성 강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삼성·SK하이닉스, AI 수요 속 ‘HBM 전쟁’ 격화…승자는 누구?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글로벌 메모리 시장의 판도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 급증 속에서 격변하고 있다. 올해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간의 기술 주도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www.speconom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원 SK회장 “기업 연대로 집합적 임팩트…사회문제 해결 가속화” (0) | 2025.04.02 |
---|---|
삼성전자, DX부문장에 노태문 사장 선임…대표이사 선임 가능성 주목 (1) | 2025.04.02 |
"집만 지어선 못 버틴다"…건설사, 에너지·신사업으로 눈 돌린다 (0) | 2025.04.02 |
김승연 회장, 지분 증여 앞서 1,055억 주식담보대출 정리 과제 (1) | 2025.04.02 |
넷마블, 정기 주총서 김병규 단독대표 선임…“글로벌 경쟁력 강화 집중”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