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확장·신사업 강화로 5년 새 고속 성장…전통산업 대비 실적 격차 뚜렷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서도 파괴적 혁신과 신시장 공략에 성공한 국내 주요 기업들이 최근 5년 간 매출을 폭발적으로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내수 침체와 경쟁력 저하에 직면한 일부 전통 산업군은 정체를 넘어 역성장의 늪에 빠졌다.
23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500대 기업 중 2019년, 2024년 결산 보고서를 제출한 407개사를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지난해 총매출은 3064조 원으로, 2019년 대비 42.1%(908조 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77.5%(85조 원) 늘어난 195조 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매출이 5년 새 400% 이상 증가한 ‘퀀텀점프 기업’은 총 13곳으로 파악됐다. 대표 주자는 미국 증시 상장 이후 공격적인 시장 확장을 이어온 쿠팡이며, 삼성바이오로직스, CJ올리브영, 우아한형제들 등 비대면·바이오·플랫폼 중심 기업들이 대거 포함됐다.
한편, 매출 증가율이 100~400% 사이에 이른 기업도 44곳에 달했다. SK하이닉스, LG이노텍, HD현대중공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이 10조 원 이상의 대형 실적 개선을 이뤘으며, 에코프로비엠, 셀트리온, 카카오, 크래프톤 등은 10조 원 미만 매출 규모지만 고성장세를 이어간 사례로 분석됐다.
‘10조 클럽’ 가입 기업 수도 큰 폭으로 늘었다. 2019년 39개사에 불과했던 연 매출 10조 원 이상 기업은 지난해 59개사로 확대됐다. 네이버, HMM, 삼성전기 등 21개사가 처음으로 10조 원 문턱을 넘으며 산업 지형의 세대교체를 예고했다.
반면, 롯데쇼핑, 삼성디스플레이 등 68개사는 5년 전보다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CEO스코어는 “역성장 기업 다수는 외부 환경 악화와 내부 혁신 부족으로 실적이 하락한 반면, 고성장 기업은 신사업 투자와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새로운 기회를 창출했다”고 말했다.
쿠팡·삼성바이오로직스·CJ올리브영, 5년 새 매출 4배 ‘폭풍 성장’ - 스페셜경제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서도 파괴적 혁신과 신시장 공략에 성공한 국내 주요 기업들이 최근 5년 간 매출을 폭발적으로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내수 침체와 경쟁력 저하에 직면한 일부
www.speconom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G, 카자흐스탄 신공장 준공…유라시아 수출 거점 확보 (0) | 2025.04.24 |
---|---|
서울, 11개월 만에 인구 순유입 전환…신규 아파트 입주 효과 뚜렷 (2) | 2025.04.23 |
DL이앤씨, 시화호 관통 ‘하모니 브리지’ 공정 본격화…상판 첫 설치 완료 (0) | 2025.04.23 |
테슬라, 1분기 ‘예상 밖 부진’…매출·순익 모두 기대에 못 미쳐 (0) | 2025.04.23 |
이찬희 삼성준감위 위원장 “상법 개정안, 정치적 승부수 되어선 안돼” (1)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