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비중 60% 돌파…전세 시장 급속 위축
입주 물량 급감…공급 부족도 월세화 부추겨
[스페셜경제=박정우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탄핵 인용으로 파면되면서 정치권은 조기 대선 정국에 돌입했고, 부동산 시장 역시 요동치고 있다. 특히 임대차 시장은 매매 수요 위축과 정책 불확실성 속에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7일 국토교통부와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주택 임대차 거래 중 월세 비중은 61.4%로 나타났다. 이는 2021년 같은 기간(41.7%) 대비 20%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 외 주택의 월세 비율은 76.3%로 2021년보다 무려 29.6%포인트 상승했고, 아파트 역시 44.2%로 전세와 월세 비율이 점차 비슷해지고 있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빌라 임대차 거래 13만7315건 가운데 월세는 7만4658건으로 54.4%를 차지해 전세를 앞질렀다. 이는 2022년 발생한 대규모 전세사기 사태 이후 전세 기피 현상이 장기화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이자 부담과 전세자금대출 규제로 인해 월세 선호 현상이 강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치적 불확실성도 시장의 불안을 키우고 있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차기 정부의 부동산 정책 방향이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매수 관망세가 심화되며 임대차 시장으로 수요가 몰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해온 임대차2법 개편안은 사실상 중단됐으며, 향후 정책 방향은 다음 정부로 넘어가게 됐다.
최근에는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계약갱신청구권을 최장 10년으로 늘리는 개정안이 제시되면서 시장에 또 다른 파장을 일으켰다. 다만 이재명 대표는 해당 안에 대해 "당 공식 입장이 아니다"며 선을 그었다.
여기에 공급 측 요인도 월세화를 부추기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3만7681가구지만, 내년에는 9640가구로 급감하고 2027년에는 9573가구에 불과할 전망이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전세 수요가 줄며 월세 비중이 당분간 증가할 수 있다”면서도 “현재로선 급격한 제도 변화 가능성은 낮고, 전세시장 회복 여부는 새 정부의 임대차 정책 기조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탄핵 여파에 부동산 불안…'전세의 월세화' 가속화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박정우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법재판소 탄핵 인용으로 파면되면서 정치권은 조기 대선 정국에 돌입했고, 부동산 시장 역시 요동치고 있다. 특히 임대차 시장은 매매 수요 위
www.speconom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플투쁠’ 1주년 맞은 LG유플러스, 4월 맞춤형 혜택·이벤트 확대 (3) | 2025.04.08 |
---|---|
SK하이닉스 최준용 부사장 “HBM 사업 고도화로 AI 메모리 시장 선도” (0) | 2025.04.08 |
‘더 똑똑하고 더 크다’…삼성, AI 기반 2025 TV 라인업 발표 (0) | 2025.04.07 |
한화비전, 미국 'ISC 웨스트 2025'서 차세대 AI 영상보안 기술 대거 공개 (1) | 2025.04.07 |
챗GPT 이미지 생성 열풍… 출시 일주일 만에 7억장 돌파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