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품·농산물 가격 동반 하락…돼지고기·달걀 등 일부 품목은 상승 지속
지난 4월 국내 생산자물가지수가 국제 유가 하락과 농산물 출하 증가 등의 영향으로 6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공산품과 농림수산품 가격이 동반 하락하며 전체 지수를 끌어내렸지만, 일부 품목은 여전히 상승 흐름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2024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는 120.24(2020년 기준=100)로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이후 반년 만의 하락이다.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0.9% 상승했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의 변동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1~3개월 후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선행 지표다.
최근 수개월간 보합 또는 상승세를 보이다가 다시 하락 전환된 것은 국내 공급 여건 변화와 글로벌 원자재 흐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세부적으로 보면, 농림수산품은 1.5% 하락했다. 농산물(-5.8%)과 수산물(-0.7%)이 모두 약세를 보였다. 특히 양파(-15.8%)와 오이(-35.1%)는 생육 환경이 개선되며 출하량이 급증해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공산품도 석유류(-2.6%)와 화학제품(-0.7%) 등의 하락에 힘입어 전월보다 0.3% 낮아졌다. 나프타(-5.8%)와 경유(-1.8%)도 큰 폭으로 내렸다.
반면 일부 생활필수품은 상승세를 유지했다. 돼지고기(8.2%)와 달걀(11.4%)이 큰 폭으로 오르며 소비자 물가에도 압력을 줄 가능성이 제기된다. 우유(1.1%)와 두유(6.6%)도 가격이 올랐다.
전력·가스·수도, 폐기물 부문은 산업용 도시가스 가격이 5.2% 올라 전체적으로 0.4% 상승했다. 서비스 부문 역시 음식점, 숙박(0.6%), 운송서비스(0.1%) 등의 오름세로 0.2% 증가했다.
한편 생산자물가에 수입물가를 더해 산출하는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6% 하락하며 지난해 9월 이후 7개월 만에 내림세를 보였다. 원재료(-3.6%), 중간재(-0.4%), 최종재(-0.1%) 모두 일제히 하락한 결과다. 총산출 기준으로는 0.3% 하락해 전년 동월 대비 0.3% 감소했다.
4월 생산자물가 6개월 만에 하락…국제유가·농산물 출하 영향 - 스페셜경제
지난 4월 국내 생산자물가지수가 국제 유가 하락과 농산물 출하 증가 등의 영향으로 6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공산품과 농림수산품 가격이 동반 하락하며 전체
www.speconom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브라질 AI 확산에 닭고기 수급 대응 총력…국내 생산 확대·수입 재개 병행 (0) | 2025.05.23 |
---|---|
종근당, 노바티스에 첫 마일스톤 수령…500만 달러 기술료 (2) | 2025.05.23 |
카카오모빌리티, ‘콜 몰아주기’ 과징금 소송 승소…법원 “271억 부과 취소” (1) | 2025.05.23 |
홈플러스, 회생절차 조기 정상화 위해 노사 공동 협의 본격화 (0) | 2025.05.22 |
비트코인, 10만 달러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 경신… ETF 자금 유입 영향 (4)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