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수산물 상승에도 석유류 가격 하락이 물가 상쇄…공산품·서비스는 대체로 안정세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국내 생산자물가가 2개월 연속 보합세를 이어갔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상승했지만, 석유제품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전체 물가 흐름을 상쇄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120.32(2020=100)로 전월 대비 0.01포인트 상승했다. 등락폭이 미미해 사실상 보합세(0.0%)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월에 이어 두 달 연속 같은 흐름이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1.3% 상승했다.
생산자물가는 소비자물가에 선행하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1~3개월 시차를 두고 반영된다. 한국은행은 월간 기준 변화율을 중심으로 최근 물가 흐름을 판단하고 있다.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이 전월보다 0.4% 상승했다. 축산물(+1.8%)과 수산물(+0.5%)의 상승 폭이 컸다. 돼지고기(+6.1%), 달걀(+6.8%), 물오징어(+19.9%), 게(+22.2%)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반면 딸기(-31.2%), 무(-8.4%) 등 일부 농산물은 하락세를 보였다.
공산품은 보합세를 유지했다. 1차금속제품이 0.8% 상승했지만,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경유(-5.7%), 휘발유(-5.8%) 등 석탄, 석유제품(-4.3%)이 크게 하락했다. 전력·가스·수도, 폐기물 분야는 산업용 도시가스(-2.7%)와 증기(-1.1%) 가격 하락 영향으로 0.2% 떨어졌다.
서비스 부문은 금융·보험서비스가 1.5% 하락한 반면, 음식점·숙박서비스가 0.5% 상승하면서 전체적으로는 보합세를 기록했다.
이문희 한국은행 물가통계팀장은 "생산자물가는 일부 품목의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유가 하락 영향이 크게 작용하며 두 달 연속 보합 흐름을 이어갔다"고 말했다.
한편, 생산자물가와 수입물가를 결합해 산출하는 국내공급물가는 전월 대비 0.1% 상승해 지난해 10월 이후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상승폭은 2월(0.2%) 대비 축소됐다. 원재료는 1.0% 하락한 반면, 중간재와 최종재는 각각 0.1%, 0.3% 상승했다.
수출을 포함한 총산출 기준 물가지수도 0.1% 상승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2.5% 상승을 기록했다.
국제유가 하락에 3월 생산자물가 보합…석유제품 가격 급락 영향 - 스페셜경제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국내 생산자물가가 2개월 연속 보합세를 이어갔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상승했지만, 석유제품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전체 물가 흐름을 상쇄한 것으로 나타났다.22
www.speconom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쏘시오그룹, 자사주 매입·정관 개정 통해 책임경영·주주환원 강화 (0) | 2025.04.23 |
---|---|
롯데칠성, 성과 중심 ‘레벨제’ 인사개편 추진…직급제 폐지 검토 (0) | 2025.04.23 |
제네시스, 美 관세 앞두고 수출 물량 선제 확대…현지 생산 불가피 (1) | 2025.04.22 |
美 보호무역 여파…한국 수출입 동반 감소, 對美 교역 14% 급감 (0) | 2025.04.21 |
‘양념치킨 원조’ 페리카나, 창사 이래 최대 실적…영업이익 39억 돌파 (2)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