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광고, AI 기반 최적화로 견조한 성장세 유지
커머스, '플러스 스토어' 효과에 광고 매출 사상 최대
네이버가 올해 1분기 검색, 커머스, 핀테크 등 핵심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커머스 플랫폼 경쟁력 강화가 실적을 견인했다.
네이버는 9일, 2025년 1분기 연결 기준 실적으로 매출 2조7868억 원, 영업이익 5053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3%, 15.0% 증가한 수치다. 조정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7010억 원, 영업이익률은 18.1%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이어갔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검색 광고 중심의 '서치플랫폼' 부문은 매출 1조12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9% 성장했다.
네이버는 AI 기반 지면 최적화 기술과 광고 타깃팅 고도화 등을 통해 광고 효율을 높이며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회사 측은 2분기부터 광고 데이터를 통합해 전체 네이버 플랫폼 중심으로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커머스 부문은 AI 쇼핑 앱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출시와 함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해당 부문은 전년 대비 12%, 전 분기 대비 1.6% 증가한 7879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커머스 광고 매출은 3083억 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스마트스토어와 N배송 개편, 멤버십 혜택 강화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온-플랫폼 거래액은 전년 대비 10.1% 늘었다.
핀테크 부문도 전년 대비 11% 성장한 392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1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19조6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4% 증가했다. 특히 외부 생태계 확장과 더불어, 최근 증권사 간편주문 서비스(WTS) 도입 등으로 금융 서비스 부문에서의 확장세가 주목된다.
콘텐츠 부문은 웹툰을 중심으로 꾸준한 성장을 보였다. 해당 부문은 4593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2.9% 증가했다. 이 중 웹툰은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한 4227억 원을 기록하며 글로벌 콘텐츠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 번 입증했다.
한편 기존 클라우드 부문은 이번 분기부터 '엔터프라이즈'로 명칭을 변경해 새롭게 분류됐다. 라인웍스 유료 ID 확장 등의 영향으로 이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14.7% 증가한 1342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콘텐츠와 데이터를 검색, 탐색, 쇼핑, 로컬 정보 등 다양한 서비스로 연결하는 독보적인 AI 기반 플랫폼 생태계를 구축해가고 있다"며 "기술력과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네이버, AI 커머스 호조에 1분기 실적↑…전 부문 고른 성장 - 스페셜경제
네이버가 올해 1분기 검색, 커머스, 핀테크 등 핵심 사업 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보이며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특히 인공지능(AI)을
www.speconom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텔레콤, 해외에서도 유심보호 가능…보안 서비스 전면 업그레이드 (1) | 2025.05.13 |
---|---|
LG에너지솔루션, 글로벌 스타트업과 손잡고 '배터리 오픈 이노베이션' 본격 확대 (0) | 2025.05.13 |
SK텔레콤, 유심 교체 수요 폭증에 물량 확보 총력 (1) | 2025.05.12 |
“소형 아니면 대형”…국내 車시장, 소비 양극화 뚜렷 (0) | 2025.05.12 |
조현범 회장 “성과로 사회 환원…국가경제 기여할 때” (0)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