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은 증가세 유지… 일평균 수출은 감소 전환
전산업 생산 증가에도 소비·투자 부진 지속… 내수 회복 지연
정부가 국내 내수 부진과 미국의 통상 압력 심화로 경기 하방압력이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을 5개월 연속 제시했다.
이에 따라 수출 피해 기업을 지원하고 민생경제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한 13.8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조속히 집행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16일 발간한 ‘5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소비·건설투자 회복이 지연되고 고용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대외 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압력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글로벌 교역·성장 둔화 가능성과 국제 금융시장 변동성이 이어지는 점도 우려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 1월 이후 매월 ‘경기 하방압력’ 표현을 반복해 오고 있으며, 미국의 통상 조치를 ‘대외여건 악화’로 규정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세부 지표를 보면, 3월 전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0.9% 증가해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특히 광공업 생산이 2.9% 늘며 전체 산업 생산을 견인한 반면, 서비스업(-0.3%)과 건설업(-2.7%)은 감소했다.
소비와 투자 부문은 여전히 부진했다. 3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3% 감소했고,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도 각각 0.9%, 2.7% 줄었다.
소비자심리지수(CSI)는 4월 93.8로 전월보다 소폭(0.4p) 상승했으나, 여전히 기준선인 100을 밑돌고 있다. 기업경기실사지수(CBSI)는 실적(87.9)과 전망(86.3) 모두 소폭 개선됐지만, 업황 부진의 골은 여전한 상황이다.
4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해 3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다만 일평균 수출액은 24억3000만 달러로 0.7% 감소했다.
고용지표는 일부 개선됐다. 4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9만4000명 증가했으며, 실업률은 2.9%로 0.1%p 하락했다. 소비자물가는 2.1% 상승률을 유지했으나, 근원물가는 1.9%에서 2.1%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정부는 대외 충격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추경 예산의 신속한 집행과 함께, 피해 기업 지원, 산업 경쟁력 강화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기재부는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기업 피해 지원과 통상 리스크 대응을 위해 13.8조 원 규모의 필수 추경을 조속히 집행하고, 일자리·건설·소상공인 지원을 통한 민생경제 회복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13.8조 추경 조기 집행… “수출 피해 기업·민생경제 지원 총력” - 스페셜경제
정부가 국내 내수 부진과 미국의 통상 압력 심화로 경기 하방압력이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을 5개월 연속 제시했다.이에 따라 수출 피해 기업을 지원하고 민생경제 회복
www.speconom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뚜기, 1분기 영업익 21% 감소…글로벌 확대 전략 강화 (0) | 2025.05.16 |
---|---|
동국제약, 1분기 사상 최대 실적…전 부문 고른 성장세 (0) | 2025.05.16 |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파트너십 강화…팔탄 스마트플랜트 방문 (0) | 2025.05.15 |
하림, ‘맥시칸’ 레시피 접목한 냉동치킨 브랜드 론칭…HMR 시장 정조준 (2) | 2025.05.15 |
남부발전 김준동 사장, 인구위기 대응 릴레이 캠페인 나서 (0)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