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경제=남하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 시간) 0시 1분부터 발효될 예정이던 상호관세 조치에 대해 90일간 유예를 결정하고, 이 기간 동안은 기본 관세율인 10%만을 적용하기로 했다.
그러나 중국에 대해서는 보복 관세에 대한 대응 조치로 125%의 초고율 관세를 즉각 부과하겠다고 밝혀 무역 갈등이 격화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을 통해 “중국이 세계 시장에 보여준 존중의 부족을 고려해,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해 즉시 1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 중국의 펜타닐 유입 문제를 명분으로 두 차례에 걸쳐 10%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으며, 이후 상호관세 명목으로 추가 34%, 중국의 보복 관세 대응에 따라 50%를 더해 총 104%의 관세를 적용해왔다.
중국이 이에 대해 다시 보복 조치를 예고하자, 미국은 재보복 차원에서 관세율을 125%로 끌어올리며 강경 대응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은 머지않아 미국과 세계 각국을 더 이상 착취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될 것”이라며 중국을 강하게 비난했다.
반면, 중국 외 국가들에 대해서는 무역 협상 여지를 남기며 상호관세 적용을 90일간 유예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75개국 이상이 미국 정부에 접촉해 무역장벽, 관세, 환율 문제 등에 대한 협상을 요청했고, 이들 국가는 미국에 보복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며 “이에 따라 유예 조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지난 5일부터 전 세계 국가에 10%의 기준관세를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9일부터는 57개국을 대상으로 상호관세가 시행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번 발표로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되고, 기준관세만 유지된다. 한국도 이날부터 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었으나, 유예 결정에 따라 90일간은 10%의 기준관세만 적용받는다.
미국 내에서는 상호관세 유예 가능성이 지난 7일 일부 언론을 통해 제기됐으나, 당시 백악관은 이를 ‘가짜뉴스’라고 일축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유예 계획을 부인했었다.
그러나 최근 주식시장 하락과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유예 결정은 금융시장 충격 때문이 아니라, 75개국 이상이 협상 요청을 해왔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국가가 협상에 나설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각국과의 협상은 맞춤형으로 진행되며, 트럼프 대통령도 직접 관여하길 원하고 있다. 이것이 우리가 90일 유예 계획을 발표한 이유”라고 덧붙였다.
베선트 장관은 향후 무역 협상과 관련해 “미국은 알래스카에서 대규모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한국과 일본, 대만이 이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구매계약을 체결하는 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무역적자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결정으로 미·중 무역 갈등은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중국은 지금까지 미국의 관세 조치에 상응하는 보복 관세로 대응해왔으며, 이번 고율 관세 조치에도 강경한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중국에 125% 초고율 관세 단행… 다른 국가는 90일 유예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남하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 시간) 0시 1분부터 발효될 예정이던 상호관세 조치에 대해 90일간 유예를 결정하고, 이 기간 동안은 기본 관세율인 10%만을 적용
www.speconom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외 불확실성에 얼어붙은 고용시장…제조업·청년층 직격탄 (1) | 2025.04.10 |
---|---|
동아제약, 박카스맛 젤리와 글로벌 게임 ‘원신’ 이색 콜라보 진행 (0) | 2025.04.10 |
LH, 공공기관 자회사 운영실태 평가 ‘A등급’ 획득 (0) | 2025.04.09 |
K라면, K영화와 만나다…농심-전주국제영화제 두 번째 협업 (0) | 2025.04.09 |
해썹인증원, 충북대 학생 대상 실습형 연구실 안전 견학 프로그램 성료 (1)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