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지주·하림, 영업이익 두자릿수 급감에도…149억원 배당 김 회장, 배당·급료로만 66억원 챙겨…“주주 동의제 도입해야” 지주 주가, 약세…증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가 1만6천원”제시
김홍국 하림 회장의 지난해 실적이 곤두박질했지만, 배당으로 자신의 배만 불렸다. 김홍국 회장의 고향인 전북 익산에 있는 하림의 가정간편식 공장. [사진=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박숙자 기자] 김홍국 하림 회장의 지난해 실적이 곤두박질했지만, 배당으로 자신의 배만 불렸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하림의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이 1조4108억원으로 전년(1조3429억원)보다 5.1% 증가했다.
전년보다 생계 시세 상승과 품질 향상에 따른 판매경쟁력 제고에 따른 개선이라고 하림이 공시했다.
경영능력의 지표인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13.7%(468억원→404억원) 급감하면서, 이 기간 하림의 영업이익률 역시 3.5%에서 2.9%로 떨어졌다. 이는 김홍국 회장이 1000원치를 팔아 전년 35원의 이익을 냈지만, 지난해에는 29원을 벌었다는 의미다. 통상 영업이익이 경영능력을 의미하는 이유다.
반면, 하림의 지난해 순이익이 130억원으로 전년보다 160%(80억원) 늘었다. 이로 인해 하림의 총자산순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이 각각 1.5%, 4.2%로 전년보다 1%포인트, 2.5%포인트 상승했다. ROA, ROE는 영업이익률과 함께 기업의 수익성 지표다.
다만, 빌려준 돈을 받거나, 건물이나 토지 매각 대금 등도 순이익으로 잡히기 때문에 순이익이 경영능력 지표로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하림은 생산성과 원가 개선 등으로 수익성도 나아졌다고 공시했다.
하림은 이 같은 이익으로 보통주에 30원, 모두 32억원을 배당한다. 이중 하림지주가 (6092만8422주, 지분율 57.37%) 18억원을, 김홍국 회장이 4000만원(130만4207주, 1.23%)을 각각 가져간다. 하림지주가 받는 배당금 가운데 4억원이 김홍국 회장 몫이다. 김홍국 회장이 하림지주 지분 21.10%(2362만8621주)를 소유한 최대 주주라서다.
하림지주도 120원, 117억원을 배당한다. 이중 28억4000만원이 김홍국 회장 통장으로 들어간다.
김홍국 회장은 이외에도 지난해 하림지주에서 25억9000만원을, 하림에서 7억3300만원을 보수로 각각 챙겼다. 하림지주와 하림에서 김홍국 회장이 받은 돈이 모두 66억300만원이지만, 다른 계열사에 받는 배당금 등을 더하면, 김홍국 회장이 받는 돈은 더 늘어난다는 게 업계 추산이다.
김홍국 회장이 신동빈 롯데 회장처럼 주력 계열사와 지주 회사 대표에 각각 이름을 올리면서 자신의 배만 채운 셈이다. 신동빈 회장도 주력인 롯데쇼핑과 롯데지주 대표로 각각 활동하고 있다.
통상 사주는 지주회사 혹은 주력 계열사 대표로만 경영에 임한다. 지주회사 체제인 최태원 SK 회장, 구광모 LG 회장, 조현준 효성 회장 등이 투자사인 지주회사 대표로만 경영에 참여하고 있다. 독립 경영 체제인 삼성의 경우 이재용 회장은 주력인 삼성전자 대표만 맡고 있다.
하림은 지난해 상반기 현재 50개 계열사에 공정자산 17조9100억원으로 재계 27위며, 하림지주와 하림의 지난해 말 현재 이익잉여금이 각각 1조2555억원, 405억원이다.
하림이 2010년대 중반 충남 공주 정안농공단지에 지은 펫푸드 공장. [사진=스페셜경제]
경실련 관계자는 이와 관련, “배당을 결정하는 이사회가 사주와 우호 관계다. 현재 이사회를 견제할 방법이 없다. 소주주의 이사회 진출을 허용하고, 전체 주주의 50%의 동의를 얻는 주주 동의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하림지주의 전년대비 지난해 매출이 12.4%(13조7753억원→12조624억원), 영업이익이 39.7%(9413억원→5675억원), 순이익이 68.7%(5690억원→1783억원) 각각 급감했다.
배당에도 불구하고 국내 유가증권시장에서 이들 기업의 주가가 약세인 배경이다. 하림지주 주가는 지난달 5일 8430원으로 최근 3개월 사이 최고를 기록했지만, 이후 등락하다 22일에는 7190원으로 장을 마쳤다. 하림 주가 역시 지난해 12월 26일 5300원으로 같은 기간 최고를 찍었지만, 지난달 7일에는 2920원으로 이 기간 최저를 기록했다. 22일에는 3025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하림지주와 하림의 재무가 다소 불안한 점도 이 같은 주가 하락에 힘을 보탰다.
지난해 유동비율과 부채비율의 경우 하림이 각각 75.2%, 173.4%, 하림지주가 각각 77.1%, 155.1%다. 재계는 기업의 지급능력인 유동비율을 200% 이상으로, 자본의 타인의존도(차입경영)를 뜻하는 부채비율을 200% 이하로 각각 유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김장원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이에 대해 ”하림지주가 도약을 위한 여러 가지 여건을 마련했다. 향후 사업 전개가 빨라질 것”이라며 하림지주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만5600원을 각각 제시했다.
[스페셜경제=정수남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강화한 스마트 전화기와 가전제품 등을 대거 선보이고 있다.
이 중 1월 선보인 스마트 휴대전화기 갤럭시 S24의 경우 동시통역이 가능하다.
최근 서울지하철 8호선 객차에서 카메라에 담았다.
(왼쪽부터) 40대 한국 여성이 오른쪽 모자를 쓴 아프리카 탄자니아 노동자와 갤럭시 S24를 통해 영어로 대화하고 있다. 이들의 대화 내용은 성당 신부에 대한 것이다. 탄자니아는 스와힐리어와 영어를 쓴다. [사진=정수남 기자]
한편, 삼성전자는 이 같은 갤럭시 S 24의 동시통역 기능을 전국 극장 등에서 알린다.
근간에 남자친구와 헤어진 한 20대 한국 여성이 남자친구와 함께 가기로 한 프랑스 여행을 취소하는 장면이다. 해당 여성이 “예약을 취소하겠다”고 하자, 현지 남성 상담원이 “알겠다”고 답한다. 그러다 이 여성이 “자신만 가겠다”고 예약을 변경하자, 이 남성은 “좋은 인연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각각 자국어를 통해서고, 이 여성은 갤럭시 S24를 사용한다.
최근 새벽 수도권 도시의 사거리에서 스포츠유틸리티챠량이 고속으로 달리다, 승합차를 받아 차량이 반파했다. [사진=스페셜경제]
자동차가 생활필수품으로 자리했다. 국내 자동차 등록이 2600만대로 2인당 1대꼴인 점이 이를 잘 말해 준다.
다만, 자동차가 많고, 활용 빈도가 높은 만큼 안전사고도 급증하고 있다.
종전 국내 교통사고 사망자가 연간 1만명 이상이던 시절이 이를 잘 말해 준다. 이후 연간 사망자가 2010년대 초 5000명에서 현재 3000명 미만으로 줄었지만, 우리나라가 교통사고 사망자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여전히 상위다.
많은 운전자의 3급, 급출발, 급가속, 급정지 습관과 함께 사소한 실수도 여기에 힘을 보태고 있다.
우선 가속과 브레이크 페달을 혼동해 발생하는 사고가 잦다. 최근 차량은 고성능이라, 페달을 잘못 밟으면 급발진에 버금가는 속도가 나오며,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진다. 급발진으로 의심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운전자의 페달 오작동으로 드러난다.
시동 단추와 오디오 조작 단추의 혼동으로 인한 사고도 있다. 이들 단추가 가까워 운전하다 잘못 눌러 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운행 중 오디오 단추를 누른다는 게 시동 단추를 눌러 차량 시동이 꺼지게 되면, 차량의 제어가 불가능해 각종 사고를 일으킨다.
차량 문 사용시 발생하는 사도고 많다. 차량에 오르내리기 위해 문을 열다 다치는 경우가 생각 이상으로 빈번하다. 급하게 차량에 탑승할 경우 차량 문에 발이나 손이 낀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심한 경우 손가락 골절도 발생한다.
최근 나온 테슬라의 사이버트럭이 스테인레스 차체라 날카롭고 위험한 문을 가지고 있다. 자칫 손가락 절단 위험도 있다.
초보운전자가 기기 조작을 잘못하거나 몰라 발생하는 사고도 종종 있다. 밤에 라이트를 켜지 않고 운전하는 차량이다. 일명 스텔스 차량인데, 초보운전자가 차량 기능 등을 숙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심각한 수준이다.
필자가 경사 5℃ 수준의 눈길에서 고급 수입 승용차가 이를 오르지 못하고 계속 미끄러지는 상황을 최근 목격했다. 필자가 다가가 변속기를 자동이 아닌 수동에 놓고 주행할 것을 주문했고, 이어 차는 수동으로 가뿐하게 경사로를 올랐다. 뒤에 따르는 차량이 없어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운전자가 자동변속기를 주행(D)에 놓고 하차해 발생하는 사고도 잦다. 출근하는 운전자가 쓰레기를 버리려고 급한 마음에 자동변속기를 D에 놓고 몸을 반쯤 내리면서 쓰레기를 버리다 차량이 움직여 몸이 벽과 차량에 끼여 사망한 일이 최근 발생했다.
D에 놓은 상태에서 차량을 정지하고 주차 비용을 정산하다 차량이 움직이면서 역시 운전자가 차량과 구조물 사이에 끼여 사망한 사고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