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용산 고가 아파트 낙찰가율 125% 상회…투자 수요 경매시장 집중

[스페셜경제=박정우 기자] 지난 3월, 서울 아파트 경매 시장이 큰 폭으로 위축됐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재지정이라는 정책 변화가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경·공매 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3월 서울 아파트 경매 건수는 172건으로, 2월(253건) 대비 32%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9월 이후 최대 낙폭이며, 당시엔 강도 높은 대출 규제가 시행되며 경매 물건이 절반 가까이 줄었던 바 있다.
업계는 이번 감소세의 원인을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집값 상승에 따른 경매 취소 증가”로 보고 있다. 특히 강남권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자, 소유자들이 경매 대신 일반 매매로 전환한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달 예정됐던 강남구 개포동 경남아파트(전용 167㎡) 경매는 열리지 않았다. 감정가는 34억5000만원, 채권액은 9억3000여만원이었지만, 매매가 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라 경매가 취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98㎡)와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84㎡) 역시 같은 달에 경매가 취하됐다. 그러나 같은 시기, 일부 고가 아파트는 경매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 끝에 높은 가격에 낙찰되며 ‘강남 불패’의 면모를 다시 한번 입증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강남 3구와 용산구로 재지정된 지난달 24일 이후, 고가 낙찰 사례가 잇따랐다. 3월 서울 아파트 평균 낙찰가율은 97.5%로, 전월(91.8%) 대비 5.7%p 상승했으며, 이는 2022년 6월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번 달에도 상승세는 이어지고 있다. 지난 2일 송파구 잠실동 우성아파트(전용 131㎡)는 감정가(25억4000만원)의 125.1%인 31억7640만원에 낙찰됐고, 강남구 청담동 건영아파트(전용 85㎡)는 감정가의 125.8%인 38억1132만원에 거래되며 응찰자 수는 각각 27명, 17명을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 위축 속 고가 단지 ‘강세’…양극화 뚜렷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박정우 기자] 지난 3월, 서울 아파트 경매 시장이 큰 폭으로 위축됐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재지정이라는 정책 변화가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www.speconomy.com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차, 신형 팰리세이드로 美 시장 공략…하이브리드 모델 첫 공개 (2) | 2025.04.11 |
---|---|
역대급 더위 예고에 에어컨 특수…삼성·LG, 1분기 판매 ‘급증’ (0) | 2025.04.10 |
티웨이항공 소액주주, 이사회 입성 추진…대명소노에 견제 시동 (1) | 2025.04.10 |
부영 사랑으로 어린이집, 전국서 122건 수상…우수 보육서비스 입증 (1) | 2025.04.10 |
현대제철 노사, 성과급 수정안으로 잠정 합의…경영 정상화 신호탄 (1)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