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관세 압박, 세계 물가 불안 신호탄
국내 물가상승률 2%대 진입…환율·재해 등 복합 악재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한 관세 전쟁의 여파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의 잇따른 관세 부과 조치가 교역 위축과 경기 침체는 물론, 전반적인 물가 상승 압력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올해 들어 물가상승률이 2%대를 기록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으며, 여기에 환율 급등과 자연재해 등의 국내 요인까지 더해져 물가 불안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UBS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 정책이 지속될 경우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현재 2.8%에서 최대 5%까지 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무역 상대국들이 보복관세를 단행하면서 물가 상승은 국지적인 현상을 넘어 세계적 흐름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실제 중국은 미국산 제품 전체에 34%의 고율 관세를 매기기로 했으며, 유럽연합(EU)도 260억 유로(약 42조 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보복 조치를 예고한 바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미국이 모든 무역 상대국에 고율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경우, 자국의 물가상승률이 최대 10.4%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는 미국의 실제 조치보다도 완화된 시나리오로,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경제에도 이러한 세계적 흐름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외연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 38개국의 생산자물가가 1%포인트 오를 경우, 우리나라 소비자물가는 단기적으로 0.23%포인트, 장기적으로는 최대 0.32%포인트 상승할 수 있다.
더욱이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60원 수준까지 급등하면서 수입물가 상승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여기에 영남권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와 가공식품, 축산물, 수산물 등의 가격 인상으로 서민 체감 물가는 이미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설탕, 커피, 코코아, 차 등 주요 수입 식품 원재료 가격도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향후 가공식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다만, 관세 정책이 반드시 물가 상승으로만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관세가 전반적인 소비를 위축시켜 오히려 디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는 “가격이 오른 제품을 소비하지 않게 되면 총수요가 줄어들어 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무역 전쟁이 확산되고 각국이 연쇄적으로 보복 관세를 단행할 경우, 세계 경제는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라는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안동현 서울대 교수는 “세계적으로 관세 인상이 보편화된다면, 한국도 성장률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대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美 관세 전쟁 장기화…글로벌 인플레이션 도미노 우려 - 스페셜경제
[스페셜경제=강민철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한 관세 전쟁의 여파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의 잇따른 관세 부과 조치가 교역
www.speconom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워홈, 기계 사고로 직원 부상…조사 후 공식 입장 발표 예정 (1) | 2025.04.07 |
---|---|
제80회 식목일, aT 전국 무궁화 식수 캠페인 전개 (3) | 2025.04.07 |
한국마사회, '2025년 디지털 혁신 추진위원회' 개최… AI 전문가 참여로 실효성 강화 (0) | 2025.04.07 |
에듀윌, ‘소존배성 비약천리’ 앞세워 2025 기업문화 혁신 선언 (0) | 2025.04.07 |
편의점 커피 판매량 급증…2030 세대 ‘1000원 커피’에 반응 (0) | 2025.04.07 |